isa 만기일 의무가입기간 재가입 100% 활용법, 연금저축 irp 만기자금 이전 무조건 좋을까?

isa 만기일 의무가입기간 재가입 연금저축 irp 이전 관련 글입니다. isa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궁금한 점도 그만큼 많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Q&A 형식으로 isa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함과 동시에 100% 현명한 활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Q. 서민형은 비대면 가입이 안되나요?

비대면으로 가입할 때 서민형으로 신청하려면 인정받을 수 있는 서류를 따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 서류는 홈택스에서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서민형-서류-발급
홈택스-서민형-서류-발급

이렇게 홈택스 사이트로 접속해서 검색창에 ‘개인종합’이라고 검색하신 후 서비스 바로가기로 나오는 ‘소득확인증명서’를 클릭해서 본인인증 후 다운로드 받은다음 금융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간단하죠?

Q. 어디서 가입하면 되나요?

가입은 은행이랑 증권사 두개의 금융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데요. 은행에서는 신탁형/일임형으로 가입할 수 있고, 증권사는 중개형/신탁형/일임형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융사는 어디로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선택 기준은 수수료가 저렴한 금융사입니다. 그런데 특정 금융사를 딱 정해서 추천하는 건 의미 없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A 금융회사를 추천해도 나중에는 B 금융 회사의 수수료가 더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죠.

또 어느 금융사가 가장 좋은 혜택을 주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혜택은 다 똑같습니다. 비과세 혜택은 나라에서 정한 기준이라서 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거래 금융사를 이용해도 괜찮고, 또 지금 isa처럼 떠오르는 금융 상품이 있을 때는 금융사에서 너도나도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이벤트를 굉장히 많이 합니다. 그래서 이벤트를 쏠쏠하게 제공하는 금융사를 선택해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isa는 금융사를 갈아타는 게 다른 상품에 비해 매우 용이하므로 시의성에 맞게 결정해도 괜찮겠습니다.

Q. 만기일 vs 의무가입기간 어떻게 다른 건가요?

운용과 유지와 관련해서 만기일과 의무가입기간이 어떻게 차이 나는지에 대한 궁금증도 많은데요. 일단 의무가입기간은 3년입니다. 3년을 꽉 채워야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죠.

만기일은 본인이 isa 통장을 얼마만큼 유지할 건지 그 기간을 정하는 건데요. 보통은 계속 쓸 수 있도록 9999년으로 설정하라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유는 의무보유기간 3년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vs 없다 여부를 결정짓는 것이고, 만기일은 내가 이 통장을 언제까지 이용할 건지를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길면 길수록 좋다는 거죠.

예를 들어 의무 보유기간 3년을 다 채웠는데도 손익을 따져보니 지금 손실을 보는 상황이어서 수익을 하나도 얻지 못했다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것도 없게 되겠죠? 그럼, isa 통장을 좀 더 굴려서 비과세 혜택을 쏠쏠하게 받을 수 있도록 수익을 얻을 때까지 더 운용하고 싶을 겁니다. 이대로 해지하기엔 너무 아깝잖아요. 그런데 만약 만기일을 의무 보유기간이랑 동일하게 3년으로 설정했다면 원치 않게 해지해야 합니다.

이렇게 나중 일은 아무도 모르는 거니까 만기일은 넉넉하게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만기일을 9999년으로 설정했어도 9999년 이용해야 하는 게 아니라 만기일 안에서 의무 가입기간이 지났으면 언제든지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습니다.

▣ 만기를 짧게 설정했다면?

처음 가입할 때 만기일을 짧게 설정했어도 다행히 만기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만기일이 도래하기 90일 전부터 만기 도래하기 1일 전까지 연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기일 당일날은 연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전까지 반드시 연장할지 말지에 대해 의사결정 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Q. 3년이 너무 긴데 기간을 줄일 수는 없을까요?

의무기간 3년이 너무 부담스러워서 이 기간을 단축할 수는 없는지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데요. 실질적으로 3년이라는 기간을 단축할 수는 없겠지만, 약간의 꼼수를 쓸 수는 있습니다.

의무 가입기간 3년이라는 것은 3년 내내 하루도 빠짐없이 계속 저축하고 운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한 지 3년만 되면 비과세 혜택을 주겠다는 겁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은 저축과 투자를 열심히 할 생각이 없어도 하루라도 빨리 isa 통장을 만들어두면 카운트다운이 시작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isa 통장을 하루라도 빨리 만들어놓고, 3년이라는 시간이 좀 더 빨리 흘러갈 수 있도록 시간을 버는 게 중요합니다.

Q. isa 재가입 가능할까요?

isa는 재가입 가능합니다. 가능한 것뿐만 아니라 오히려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여기에서 의문점이 생길 겁니다. 만기일을 9999년 넉넉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왜 굳이 귀찮게 다시 가입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 텐데요.

해지 후 새로 가입하면 비과세 혜택의 한도, 납입 한도 이 모든 것들이 처음으로 돌아갑니다. 새로 개정되는 내용에 따르면 isa 일반형이 비과세 혜택 500만 원, 서민형이 1,000만 원인데요. 내가 수익을 많이 얻어서 일반형 기준으로 비과세 혜택 500만 원을 꽉 채웠다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해지하고 새로 가입해서 비과세 혜택 500만 원의 한도를 새로 얻어야 합니다. 이게 바로 isa를 재가입하는 이유죠.

Q. 세제혜택 언제 받는 건가요?

isa 계좌의 가장 큰 혜택이라 볼 수 있는 세제혜택에 대한 궁금증도 많은데요. isa 계좌를 운용하는 동안에는 세금 정산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해지할 때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의무기간 3년만 맞춰서 운용하고 해지했다면 해지하는 그 당일날 정산하는 겁니다. 비과세 한도 내에서 내가 수익을 얻었다면 세금 낼 게 없고, 초과하면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를 합니다.

Q. isa 만기자금을 연금저축/irp에 이전할 수 있나요?

마지막으로 연금저축 IRP isa 관계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과 isa 중에 뭐가 더 좋은지, 연금저축으로 이전이 가능하다는데 이건 무슨말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은데요. 먼저 isa 만기자금을 연금저축과 irp로 이전할 수 있다는 게 무슨 말일까요?

앞서 isa 계좌는 일단 의무 보유기간 3년만 지나면 만기 기간 안에 얼마든지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isa를 해지할 때 금액의 전부 혹은 일부를 연금저축 혹은 일부를 연금저축 혹은 IRP 통장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금전적으로 여유만 있다면 이렇게 이전하는 게 노후 준비에 확실한 도움이 되죠. 그리고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의 끝판왕입니다. 2023년도 연말정산부터는 연금저축과 IRP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가 900만 원으로 늘어났죠?

연금저축-irp-isa-만기자금-이전
연금저축-irp-isa-만기자금-이전

즉, 기존에는 연금저축이랑 IRP를 활용해서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 한도가 아무리 많아도 900만 원이었는데 isa의 만기자금 전체 혹은 일부를 IRP 혹은 연금저축에 이전하면 그 금액에 대해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한도를 더 부여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대로 보면 1,200만 원까지 세액공제의 한도를 확보할 수 있죠.

연금저축-납입한도-세액공제-한도
연금저축-납입한도-세액공제-한도

사실 고연봉자, 그리고 직급이 높으신 분들은 아무리 발버둥 쳐도 연말정산에서 뱉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세액공제 한도를 300만 원이나 더 확보할 수 있다는 건 매우 좋은 기회입니다.

하지만 isa 만기자금을 무조건 연금저축이나 irp로 이전하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연금저축이랑 irp는 노후를 위해 노후까지 묶어두는 자금을 만드는 통장입니다. 그러니까 해지하지 않는 이상 돈을 찾을 수 없으니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isa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과 irp에 넣는 건 위험할 수도 있는 선택이죠.

내가 당장 isa 만기자금을 활용할 예정은 없는지, 앞으로 이 돈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충분히 셈을 한 다음에 연금저축 혹은 irp 통장에 이전하는 게 현명한 선택입니다. 주위에서 좋다니까 무조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하는 건 어리석죠.

이상 isa 만기일 의무가입기간 재가입 연금저축 irp 이전 관련 포스팅을 마칩니다. 다른 도움 될만한 포스팅도 아래 첨부하겠습니다.

isa 비과세 한도 납입한도 분리과세 등 개정내용 알기쉽게 정리

청년월세지원 조건, 소득 재산 기준, 부모님 요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조건 전환 서류 비과세 요건 등 모든 혜택!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금리 서류 은행, 무직 대학생 가능할까?

디딤돌대출 조건 금리 한도, 30세미만 30세이상 미혼단독세대주 자격

아파트관리비 환급 장기수선충당금 예치금 돌려받기 집주인 임차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