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근로 자격 월급 업무 근무시간 신청기간 관련 포스팅입니다. 이 사업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이나 실업 상태인 사람들에게 단기적인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생활 안정을 돕고, 동시에 지역 사회나 공공 시설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공공근로사업
![공공근로사업-보도자료](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사업-보도자료.jpg)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하면 그렇게 힘든 일이 아닌 일을 시급 만 원 이상 받으면서 일할 수 있습니다.
![2025-공공근로사업-모집공고](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2025-공공근로사업-모집공고.jpg)
여기에 주휴수당, 연차, 사대보험까지도 다 받을 수 있어서 알바나 소일거리를 찾는 분들에게 좋죠.
각 지자체에서는 정부의 이런 사업을 각자 상황에 맞게 시행합니다. 그래서 지자체마다 신청 기간이나 근무 기간, 업무 내용, 급여 등등이 약간씩 다릅니다. 모집 기간만 보더라도 어떤 곳은 이미 시작했고, 다른 곳은 11월 11일, 또 다른 곳은 18일부터 모집하며 모집 기간도 3일, 5일, 10일 등으로 제각각이고, 급여도 조금씩 다릅니다.
![공공근로-조건](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조건.jpg)
경우에 따라 간식비와 교통비, 기피업무비를 주는 곳도 있습니다.
근무 기간도 지역에 따라 달라서 1월 2일부터 4월 25일인 곳도 있고, 어떤 곳은 1월 13일~ 4월 24일, 또 어떤 곳은 1월 6일~ 4월 20일인 곳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지자체마다 공공근로 사업 운영 방식이 조금씩 다르긴 해도 큰 틀은 비슷합니다.
오늘 말씀드리는 내용은 대략 말씀드리는 것이라 참고만 하시고, 더 구체적인 내용은 관할 주최기관에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 조건, 업무 내용, 급여, 신청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공공근로 자격
✅ 먼저 공공근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요건부터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공공근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만 18세 이상이며 해당 지자체에 거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성남시의 경우 만 18세 이상의 성남 시민이어야 하죠.
✅ 다음으로 소득과 재산 조건을 봅니다. 이중 재산 기준은 4억 원이며, 소득 기준은 지자체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취업취약계층의-범주](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취업취약계층의-범주.jpg)
정부가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를 취업 취약계층으로 보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하는 분들을 공공근로대상으로 보는 지자체가 많은데요. 파주나 청주, 평택 등의 일부 지자체에서는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도 대상으로 봅니다.
그래서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라면 어디든 공공근로를 신청할 수 있지만, 60%~70%이하라면 관할 지자체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기준중위소득-60%-70%](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기준중위소득-60-70.jpg)
참고로 기준 중위소득 60%는 1인 가구 133만 원, 2인 가구 220만 원, 3인 가구 282만 원, 4인 가구 343만 원이고, 기준 중위소득 70%는 1인 가구 155만 원, 2인 가구 257만 원, 3인 가구 330만 원, 4인 가구 401만 원입니다.
✅ 다음으로 공공근로사업에서는 현재 취업 상태도 봅니다. 공공근로사업 자체가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 사업이라서 현재 일하지 않는 분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다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다른 곳에서 근무한다거나 사업을 하면 안 됩니다. 또 실업급여를 받고있어도 안 되죠.
업무
다음은 업무(하는일)입니다. 이건 나이대별로 약간 달라서 청년/40대/50대65세 이런 식으로 나이 제한을 두기도 하는데요.
나이가 상대적으로 젊고 인터넷이 익숙한 분이라면 서류 정리, 문서 작업, 자료 입력 등의 일을 할 수 있고, 나이대가 어느 정도 있다면 환경 미화, 정비, 서류 정리, 도서 관리, 안내, 급식 보조 등의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근무 시간은 업무에 따라 3시간부터 8시간까지 다양하게 있는데요. 보통 3시간에서 5시간 근무가 많습니다.
![공공근로-업무](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업무.jpg)
군포시를 보면 열 가지 업무가 있는데, 여기에서 단순 인력 지원과 도서 관리사업은 청년층을 우선 선발하고, 나머지는 나이 상관없이 뽑는데, 연령별로 근무 시간을 제한한다고 써져있습니다. 그래서 만 65세 이상은 하루 3시간, 18세~64세까지는 하루 5시간 근무할 수 있네요.
월급
다음은 가장 궁금해할 월급(급여)입니다.
![공공근로-일급](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일급.jpg)
대부분 최저시급, 그러니까 10,030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공근로-월급](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월급.jpg)
여기에 교통비와 간식비로 하루 5,000원씩 더 주기도 하고, 기피 업무나 힘든 업무를 하면 하루 2,000원~3,000원씩 더 주기도 합니다.
짧은 근무시간이 아쉽긴 한데, 이 정도 조건이면 괜찮죠. 여기에 주휴수당도 주고, 4대 보험까지 가입되니까, 한 달로 치면 꽤 적지 않게 벌죠.
▣ 생계급여 수급자 주의사항
만약 생계 급여수급자라면, 공공근로를 신청하기 전에 해당 지자체에 생계급여 수급자도 공공근로를 할 수 있는지 물어봐야 합니다. 이건 지자체마다 달라서 어떤 곳은 가능하고 어떤 곳은 불가능합니다.
또 수급자도 공공근로를 할 수 있다고 한다면, 공공근로소득 때문에 혹시나 수급 자격에 영향이 가지 않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기초생활 보장 제도에서는 생계 급여수급자가 월급을 받으면 생계 급여에서 월급의 70% 깎는데, 깎는 금액이 지금 받는 생계 급여보다 많으면 생계 급여수급자에서 탈락시킵니다.
이러한점 때문에 수급자 분들은 공공근로에 참여할지 말지를 잘 생각해 보셔야 하는데요, 계산하기 복잡하니까 아예 안 해야겠다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그런데 그렇게 포기하기에는 공공근로조건이 너무 괜찮습니다. 그래서 잘 따져보신 후 신청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생계급여 수급자는 근로 소득의 30%를 수급자의 소득에서 공제해 줍니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65세 이상일 경우에 소득에서 20만 원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에서 30%를 추가로 공제해 줍니다.
그래서 만약 100만 원을 번다면, 100만 원에서 20만 원을 뺀 금액, 즉 80만 원에서 30% 공제한 금액인 56만 원만 소득으로 보죠. 그래서 생계급여를 56만 원보다 적게 받는다면 수급자에서 탈락하고, 그렇지 않다면 수급 자격을 계속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공공근로를 원하는 생계급여 수급자는 자신이 얼마까지 벌어도 되는지 잘 알고 일해야 합니다.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 상태에서 일했다가 수급자에서 탈락할 수도 있습니다.
2025년도에 65세 이상인 분이 생계 급여를 차감 없이 전액 받으신다면, 즉 소득과 재산이 없는 분이시라면 1인 가구일 경우 한 달에 최대 129만 원까지 벌어도 생계급여 수급 자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공근로에서 받는 금액이 이보다 적다면 공공근로를 신청해 보셔도 됩니다.
신청방법
마지막으로 신청방법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가셔야 하는데요, 사업 참여 신청서와 개인 정보 수집 이용 제공 동의서, 신분증 등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취업 취약계층과 자격증 등 증빙 서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르니까 알아보고 가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공공근로에 대해서 말씀드렸어요. 이제는 공공일자리에 대한 편견이 많이 줄었고, 급여도 예전에 비해 많이 올라서 공공근로에 관심 있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그래서 신청자들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죠.
![공공근로-대상-제외되는-경우](https://7dsb.com/wp-content/uploads/2024/11/공공근로-대상-제외되는-경우.jpg)
그래서 최근 3년 이내 2년 이상 공공일자리에 참여하신 분들이나 직전 단계에 참여했는데 중도에 포기하신 분들은 참여를 제한해서 더 많은 분에게 참여 기회를 드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공근로에 참여하지 않았던 분들이나 짧은 기간만 참여했던 분들이 참여할 수 있죠.
이상 공공근로 자격 월급 업무 근무시간 신청기간 관련 포스팅을 마칩니다. 다른 도움 될만한 포스팅도 아래 첨부하겠습니다.
기초수급자 차상위 한부모가정 혜택 각종 바우처 지원금 등 복지정책 9가지
보건소 혜택 의료비, 간병, 치매, 영유아, 청소년 등 지원 총정리!